위스키

양주? 위스키?? 차이점을 알아보자!

위스키다이어리 2021. 1. 8. 21:17
반응형

누구나 한 번 쯤은 들어봤을 이야기

 

"어릴 때 아마 양주 몰래 꺼내먹고 보리차 부어놨었잖아!"

 

우리네 아버지들은 왜 그렇게 양주를 하나씩 가지고 계셨고, 또 그 자식들은 왜 그걸 그렇게 먹어보고 싶었을까요?

자 여기서, "양주" 란 무엇인가요? 

✔양주에는 어떤 술이 있을까

1. 위스키 - 곡물을 증류&숙성한 술

2. - 곡물을 증류한 술

3. 데킬라 - 다육식물인 용설란의 수액을 증류한 술

4. - 당밀이나 사탕수수즙을 발효해 증류한 술

5. 보드카 - 감자를 증류한 술

6. 브랜디 - 과일을 증류한 술

 

대부분 우리가 많이 들어본 저 술들은 어떤 원료를 증류했느냐에 따라서 구분이 됩니다. 그 중에서도 아마 어린 시절 훔쳐먹고 보리차를 채워넣은 술은 위스키일 확률이 큽니다.

 

그럼, 저 양주들 중에서도 위스키를 본격적으로 알아볼까요?

위스키는 지역적 분류가 가장 기본적입니다.

① 스코틀랜드의 스카치 위스키(친숙도 ★★)

주재료 - 보리

재료에 따른 분류 - 싱글 몰트 위스키, 그레인 위스키, 블렌디드 위스키

유명한 제품

- 블렌디드 위스키 : 밸런타인, 시바스 리갈, 조니 워커, 로열 살루트 등

- 싱글 몰트위스키 : 더 글렌리벳, 글렌피딕, 아드벡 등

- 그레인 위스키 : 블렌디드 위스키의 주 재료로 쓰임

증류소 - 스코틀랜드 전역에 걸쳐 많이 분포됨

 

② 아일랜드의 아이리시 위스키(친숙도 ★)

주재료 - 보리, 호밀, 옥수수 등

재료에 따른 분류 - 원래는 구분이 없었지만 스카치의 대중화에 편승하여 블렌디드, 싱글몰트, 그레인으로 나누는 추세

유명한 제품 - 제임슨

증류소 - 현재는 4개만 존재

 

③ 미국의 버번 위스키(친숙도 ★)

주재료 - 옥수수 51% 이상

재료에 따른 분류 - 버번 위스키, 켄터키 버번 위스키, 스트레이트 버번 위스키

유명한 제품 - 짐 빔, 메이커스 마크, 와일드 터키

증류소 - 미국의 여러 지역에 걸쳐 있는데, '켄터키 버번 위스키'라고 표기하려면 증류소가 '버번'에 있어야 함

 

✔위스키를 공부할 때 알아야 하는 필수 단어

몰트 - 보리나 밀에 싹이 난 상태

증류 - 워시액(발효시킨 보리와 물이 혼합되어 알코올이 생긴 상태)을 가열해 물을 일정량 증발시키고 알코올은 남기는 과정

숙성 - 증류한 몰트를 오크 통에 넣어 오랜 시간 두는 과정

피트 - 일종의 석탄으로, 스카치위스키를 증류할 때 사용하며 훈제 향을 냄

~년산 - ~년간 오크 통에서 숙성시켰다는 의미 

 

✔위스키 만드는 과정

1. 몰팅 - 보리를 물에 담가 발아를 유도하는 과정. 물에서 건져 뒤집으며 맥아를 살펴본 후 석탄, 이탄(peat)을 사용해 건조

2. 분새와 당화 - 몰트를 갈고 당분을 추출하는 과정! 뜨거운 물과 몰트를 혼합. 당분은 알코올이 됨

3. 발표 - 위트를 채운 후 효모를 투입. 증류소마다 다르지만 대략 60시간 정도 발표

4. 증류 - 위스키 생성 과정의 꽃. 알코올 도수 5~8도 내외의 워시액에서 알코올을 분리하는 과정

5. 숙성 - 오크 통에 넣어 위스키를 숙성. 이 숙성 과정이 위스키의 맛과 종류를 좌우함

6. 블렌딩 - 오크 통마다 미세하게 다른 위스키의 맛을 조절해 기존 제품과 동일하게 만드는 것

7. 도수&병입 - 일정한 도수로 조절하여 각각의 병에 위스키를 넣는 것

 

✔싱글 몰트위스키의 분류

싱글 몰트위스키에는 '증류소가 있는 지역'을 이름으로 붙이고, 블랜디드 위스키에는 '창업자의 이름'을 붙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키 몰트가'되는 싱글 몰트위스키와 그레인 위스키를 섞는 비율이 중요하기 때문이죠. 싱글몰트 위스키는 아래와 같이 분류됩니다.

 

1. 빈티지

증류소의 보리가 바뀌거나 증류기를 추가, 책임자가 바뀌는 등 증류소의 사정이 바뀐 해의 위스키

2. 캐스크 스트랭스

오크통 속의 도수를 그대로 간직한 순수 위스키 원액. 50도를 넘는 경우가 많음

3. 싱글캐스크, 싱글배럴

오로지 한 오크통에서 숙성시킨 원액. 전부 한정품이라는 것이 특징.

반응형